엠제의 일상다반사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엠제의 일상다반사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방명록
  • 태그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5)
    • 책을 읽고 (15)
    • 유튜브를 보고 (82)
    • 영화와 드라마를 보고 (4)
    • 뭔가를 먹고 (3)
    • 일을 하고 (14)
    • 하루를 살아가는 (28)

검색 레이어

엠제의 일상다반사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prior

  • The RED : 우버처럼 하는 머신러닝 의사결정 by 정종빈 (베이지안 확률, Bayesian, Prior, Likelihood, posterior)

    2023.03.27 by emje

The RED : 우버처럼 하는 머신러닝 의사결정 by 정종빈 (베이지안 확률, Bayesian, Prior, Likelihood, posterior)

Part 2-3. 불확실성과 데이터 - 베이지안 확률 ✔️ 2.11 베이지안 확률모형 *새로운 접근법으로 불확실성을 계량화하는 방법 베이지안은 절대적 진리를 감안하지 않으므로 추정량/추정치가 관심사가 아님 오직, 확률에 대한 나의 믿음에 더 강조 포인트가 있음 누군가가 안드로이드 유저일 확률에 대한 나의 믿음(Prior)이 있고 내가 관찰한 데이터 (Likelihood)를 기반으로 했을 때 나의 믿음이 어떻게 달라지느냐? 💥새로운 믿음💥 [베이지안 확률모형] 1. (확률적인) 관심변수에 대한 믿음(prior)으로 시작. 빈도주의의 관심변수, 절대적 진리 p는 확률적이지 않고 전수조사하면 나오는 절대적인 숫자. *prior는 절대적이지 않음 2. (불확실하지 않은) 데이터의 관측 빈도주의는 절대적인 진리로..

일을 하고 2023. 3. 27. 23:06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엠제의 일상다반사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